귀족사회(貴族社會)의 동요와 무신란(武臣亂) - 1
1. 귀족정치의 전개
고려 귀족사회는 문종 때 전성기를 이루고 이는 그 후 1세기 동안 계속 되었다. 이 사이에 귀족정치가 전개되었는데, 그 절정은 숙종 ․ 예종대에 이루어졌다.
숙종은 유약한 헌종에 뒤이어 생질인 漢山侯 昀(한산후 윤)을 받들려 한 외척 李資義(이자의)를 무력으로 주륙하고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는데, 호문의 왕으로서 국자감에 서적포를 두고 책을 인쇄 출판하여 문화를 발달시키는 동시에 불사를 자주 행하여 불교의 훙륭에도 힘썼다. 大覺國師 義天(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창립하여 인주 이씨와 연결된 법상종을 억누르고 불교계를 통합하려 한 것도 숙종의 후원에 힘입은 것이었다.
다음 예종은 밖으로 여진정벌에 힘쓰는 한편 안으로 문화발전에 정력을 기울였다. 그는 사학의 융성으로 위축된 관학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국학에 7재를 설치하고 국학의 재정적 기반을 확고히 하고자 양현고를 두었으며, 대규모의 교사를 신축하는 증 국학 발전에 노력하였다. 이때의 7재에는 무학재가 그 하나를 구성하고 있었으니, 이는 문무양학을 함께 일으키려는 의도로서 당시의 무인세력의 상승을 기반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또한 예종은 궁내에 청연각과 보문각이라는 학문연구기관을 설치하여 학사들로 하여금 경사와 기타 고전을 연구 회강케 하였으므로 문풍이 크게 일어나고 유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왕 8년에 禮儀詳定所(예의상정소)를 설치하여 예의 ․ 격식 등 유교적인 제도를 정한 것도 여기서 나온 것이었다. 예종은 또한 내치에도 힘을 기울였으니 당시 유망하는 백성들이 많았으므로 조세를 면제해 주었다.
그러나 숙종 ․ 예종을 이은 인종 ․ 의종대에는 이미 귀족정치가 기울어지고 있었다. 인종도 숭문호학의 왕으로 교육과 유학진흥에 힘썼다. 그는 식목도감으로 하여금 학교의 학제를 상정케 하였으니, 중앙에는 경사 6학의 제도를 마련하여 국자감의 내용을 보완하고, 지방에도 각 주현에 향약을 세워 지방교육을 담당케 하였다. 특히 왕이 당시의 학자들이 중국의 역사는 잘 알지만 정작 우리 나라의 역사를 모르는 것을 개탄하여 金富軾(김부식)에게 명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게 한 것은 유명한 일이다.
벌거벗은 한국사 E06 |
인종이 내치에도 큰 관심을 가졌음은 왕 5년에 내린 유신의 교에서 勸農 力田(권농 역전)으로 백성들의 식량을 넉넉히 하고, 정해진 租調(조조) 이외의 횡렴을 금하여 백성들을 어루만져 도망치지 않게 하고, 관리들로 하여금 침탈치 못하게 하는 등 국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인종대에는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이 일어나 정치가 혼란하였을 뿐 아니라 과중한 토목공사로 백성들에게 괴로움을 주었다. 이리하여 인종대에는 많은 농민이 유민으로 떠돌아다닐 뿐 아니라 도적으로 화하여 반항운동 일으키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실정은 의종때에 이르러 극도에 달하였다. 그는 여러 이궁 ․ 정대를 짓고 유흥을 즐겨 국비가 낭비되고 백성들의 생활을 도탄에 떨어지게 하였으니, 이러한 실정이 마침내 무신반란을 촉발하고야 말았던 것이다.
벌거벗은 한국사 E06 |
0 댓글